본문 바로가기
Cute Bow Tie Hearts Blinking Blue Pointer
탈잉X김나무 데일리미션

탈잉 김나무 이모티콘 챌린지 DAY41 [협업]

by 들기름메밀국수 2025. 9. 8.

혼자만의 작업에서 벗어나, 다른 작가와 협업하며 더 큰 시너지를 내는 방법을 다룬 강의

혼자서 캐릭터를 구상하고 작업하는 것도 의미 있지만, 협업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더 풍부한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이 도움이 되었다.

 


6-2강 다른 작가님과 협업하는 노하우

 

 

다른 작가님과 협업을 해서 이모티콘을 제작하고 싶거나 

협업을 하기로 했지만 그 다음 과정을 모르겠을때 해야할 일들

괜찮은 아이디어를 그림으로 표현해줄 사람이 필요하거나

아는 작가님의 그림이 너무 내 스타일이라 같이 작업해 보고 싶은 경우

 

협업을 제안하고 싶을 때에는

협업하고 싶은 작가의 인스타를 알고있으면

DM을 통해 조심스럽게 연락하거나

다음이나 네이버에 이모티콘 관련 카페에 글을 올려보는것도 좋음

 

이모티콘 작업을 하기 전에 계약서를 작성해놓는것이 좋음

사람은 각각의 이해관계가 다르기때문에

제대로 말을 안맞추고 작업을 시작할 경우 트러블이 생길 수 있음

계약서는 캐릭터나 지식 재산권 전문 변호사에게 의뢰해서

계약서 작성을 추천

 

계약서에 꼭 들어갈 내용

1. 계약기간

기간은 언제까지 할지 정하기

계약 종료일이 다가올 때 서로 아무얘기가 없을 경우

자동 종료인지 연장인지에 대해서도 정해놓기

 

2. 수익분배

수익 분배는 5:5로 할 것인지,

7:3으로 할 것인지 정하기

정산기간과 정산일은 며칠로 할 것인지 정하기

 

3. 작업기간

카카오톡은 미승인이 될 수 있으니

'미승인 될 경우 6개월 내 1회 수정하여 1회 더 제안해본다.'

와 같이 기한과 재제안 횟수에 대해서 정하는것이 좋다.

 

4. 작업분배

작업분배의 경우 창작업무와 운영업무로 나뉜다.

창작의 경우 이모티콘 작업에 필요한 캐릭터 디자인과 애니메이션과같은 작업업무

운영업무의 경우 캐릭터와 관련된 대외 미팅, 회계 및 자금 집행을 누가 할 것인지 정하기

 

5. 저작권

같이 작업시 저작권은 누가 갖게 될 것인지?

디자인 한 사람이 다 가질수도,

같이 작업했으니 저작권에 대한 권리를 반반 가질 수 있음

 

이 외의 경우도 전문가와 상담 후 작성하는것이 좋음

한번 써놓을 경우 다음에도 비슷하게 내용만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으니 처음에는 전문가와의 상담을 먼저 받아보는것이 좋을것 같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협업의 장점은

 

1. 역할 분담

한명은 캐릭터 디자인, 다른 한명은 문구나 콘셉트, 모션 작업 등을 맡는 등 각자의 강점을 살릴 수 있다.

 

2. 시너지 효과

혼자서는 떠올리기 어려운 아이디어가 협업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오며, 결과물이 한층 풍성해질 수 있다.

 

3. 작업 효율

일정 관리가 훨씬 수월해지고, 마감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장점도 있겠지만 강의에서 작가님이 말씀하셨던것처럼 몇가지 주의를 하면 사전에 트러블이 생기는것을 조금이나마 방지할 수 있다.

 

1. 초기에 역할과 범위를 명확하게 정하기

누가 어디까지 책임질 지 정하지 않으면 중복 작업이나 책임 회피가 생길 수 있음

 

2. 저작권/수익 배분 합의

결과물의 권리와 수익 분배에 대한 합의서는 반드시 작성할 것

 

3. 커뮤니케이션 방식 정하기

정기적으로 피드백 시간을 가지거나, 협업 툴을 활용해 작업 과정을 공유하는것이 좋다.

 

협업이 단순히 작업량을 나누는것보다는 창작 과정에서 서로의 강점을 극대화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모티콘 작업을 하면서 드로잉은 자신있지만 모션이나 문구 발상에 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는데

이 부분을 다른 작가와 협업한다면 훨씬 효율적이면서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