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ute Bow Tie Hearts Blinking Blue Pointer
탈잉X김나무 데일리미션

탈잉 김나무 이모티콘 챌린지 DAY40 [다른 플랫폼]

by 들기름메밀국수 2025. 9. 5.

 

카카오 이모티콘 스토어 중심으로만 생각하기보다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한 수익화 가능성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던 강의.

이모티콘 시장은 카카오톡이 대표적이지만 네이버ogq마켓, 모히톡, 라인 등 여러플랫폼을 함께 공략하면 수익의 폭을 넓힐 수 있다.

 


6-1강. 네이버/모히톡 등 다른 플랫폼으로 수익화하기

탈잉 김나무 이모티콘 강좌 6-1
탈잉 김나무 이모티콘 강좌 6-1 마무리

 

 

 

카카오톡 외 다른 플랫폼

 

1. 밴드

- 4050 세대가 주로 사용

- 주제별 모임 위주로 구성되어있음

- 밴드의 채팅창, 글, 댓글 모두 사용 가능

- 채팅방에서 쓰기 좋은 이모티콘이나 글 작성 시 사용하기 좋은 이모티콘을 사용

- 장난스럽거나 드립을 넣기보다는 긍정적이고 따뜻한 메시지

- 낙서체보다는 그림의 퀄리티도 높은 편이 좋음

 

'밴드'검색 밴드 홈페이지 아래쪽[스티커제안] 클릭,

홈페이지 가운데 보이는 [스티커 제휴 제안하기] 클릭

이모티콘 설명 등 작성, 시안 업로드 후 

제안자 부분에 개인정보 작성 후 [제휴제안 보내기] 클릭

 

2. 네이버 ogq마켓

- 네이버 카페, 블로그, 개인방송 플랫폼 soop에서 사용 가능

( 다 같이 쓰일 이모티콘보다는 따로따로 제작하는 것이 좋음)

- 네이버 카페와 블로그는 댓글에 사용할 때가 많기 때문에 카페나 블로그의 특성을 잘 이해한 후 제작하는 것이 좋음

- soop은 개인방송 플랫폼. 시청자가 많을 경우 아주 빠르게 메시지들이 올라가기 때문에 텍스트를 아예 없애거나 짧게 만들어주고, 캐릭터의 표정이 잘 보이도록 제작하는 것이 좋음

- 이모티콘 작가들을 위해 상품화나 공모전 등 다양한 이벤트를 하기도 함

 

'ogq 크리에이터 스튜디오' 검색 후 홈페이지 접속

[콘텐츠 업로드] 클릭 후 

스티커 / 애니메이션스티커 / 이미지 / 음원 / 컬러링시트 등 다양한 항목 중 제안할 항목 선택

비슷하게 설명을 작성해 준 후 스티커 이미지를 업로드해주고 

[메인이미지, 탭이미지]까지 업로드 후 제출하면 끝!

 

3. 모히톡

- 국내외 다양한 메신저에 서비스 중

-해외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텍스트를 넣을 때에는 영어로 적는 것이 좋고 아니면 아예 안 적어도 됨

- 텍스트가 없다면 한눈에 감정을 잘 알아볼 수 있게 제작하는 것이 좋음

- 다른 플랫폼은 한 세트로 이모티콘을 판매하는 구조였다면 모히톡은 낱개 스티커의 사용량에 따라서 수익이 측정됨

 

모히톡 검색 후 모히톡 홈페이지에 접속

상단메뉴 중 [업로드] 선택

*플러스팩: 더 많은 판매채널에서 판매 가능

사이즈와 해상도 등을 가이드에 맞게 제작, 팩 대표 이미지를 업로드해주고

이모티콘 제목과 설명 추가,

이모티콘에 텍스트가 없다면 [텍스트 미포함] 선택

어떤 것을 검색했을 때 내 스티커가 나오면 좋을지 키워드 입력,

그려놓은 스티커 업로드 후 태그 작성

최종 마지막 확인 후 [심사제출하기] 클릭

 

각각 플랫폼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 후 제안하는 것이 중요함

 


네이버 OGQ마켓의 경우

자유도가 높고 제작자 등록 절차가 간단하며 수익 배분율이 비교적 좋은 편이라 볼 수 있다.

특히 네이버 블로그부터 카페 등과 연동이 되어있어서 노출기회도 많다는 것이 장점

 

라인의 경우

해외 유저 비중이 높아 글로벌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꼭 시도해 볼 만한 플랫폼으로 꼽는다.

다만 현지 감성에 맞는 콘셉트 조정도 필요하다.

 

모히톡은 

최근 떠오르는 플랫폼 중 하나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이용자가 늘고 있다.

독특한 콘셉트의 실험적인 이모티콘도 반응을 얻을 수 있어, 신인작가에게 기회가 많은 편

 

한 플랫폼에서 미승인되었다고 끝이 아니다. 다른 플랫폼에서는 오히려 더 잘 팔릴 수 있고 플랫폼마다 심사 기준과 사용자층이 달라서 동일한 캐릭터라도 반응이 완전히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여러 플랫폼에 동시에 올릴 경우에는 제안서와 포맷을 플랫폼별 기준에 맞춰 변환해야 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도 중요한 전략 중 하나라고 생각이 되었다. 

 

이모티콘 시장이 단순이 카카오에 국한되지 않고, 플랫폼 다변화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728x90